전기자동차 지원금 신청방법 및 지원 대상
[경기도청] 전기 승용차 구매하면 최대 1천 180만 원 지원해 드립니다.
“전기 승용차 구매하면 최대 1천180만 원 지원해 드립니다”
- 경기도, 올해 친환경차 4만 7천여 대 보급에 7,420억 원 지원
○ 전기차·수소차 4만 7,090대 구매보조금으로 총 7,420억 원 지원
- (전기차 대당 최대 보조금) 승용 1,180만 원, 버스 1억 1,200만 원, 화물 2,000만 원
- (수소차 대당 최대 보조금) 승용 3,500만 원, 버스 3억 5,000만 원, 화물 4억 5,000만 원, 청소 9억 원
○ 5등급 노후 경유 차량 폐차한 자 또는 도내 산단 입주자(법인·개인)가 전기·수소 승용차 구매 시 500대 한정하여 대당 200만 원 도비 추가지원
1) 신청기간
친환경차 구매지원
지원대상 : 5등급 노후 경유차량 폐차한 자 또는 도내 산단 입주자가 전기/수소 승용차 구매하는 경우
지원금액 : 최대 200만원/대 (도비)
지원물량 : 전기/수소 승용 37,925대 중 500대 선착순 지원
2) 신청방법
친환경차 구매 희망자는 인근 자동차 판매대리점을 방문하여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상담후 보조금 지원을 위한 구매지원 신청서와 계약서를 작성해서 제출하면,
대리점에서 해당 시/군에 서류를 제출 대행 합니다.
3) 지원 사업 내역
친환경차
경기도가 2023년 올해 전기차 등 친환경차 구매보조금으로 총 7,420억 원을 지원한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보급 물량 3만 3,046대 대비 1.5배 가까이 늘어난 4만 7,090대에 대한 지원이 가능한 금액이 됩니다.
전기차
우선 전기차의 경우 승용차 3만 4,525대, 버스 1,300대, 화물차 7,807대에 대해 각각 대당 최대 1천180만 원, 1억 1,200만 원, 2천만 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한다. 지난해에는 승용차 2만 2,485대, 버스 878대, 화물차 7,051대에 지원했습니다.
수소차
수소차는 승용차 3,400대, 버스 36대, 화물차 5대, 청소차 17대에 대해 각각 대당 최대 3,500만 원, 3억 5천만 원, 4억 5천만 원, 9억 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지난해에는 승용차 2,622대, 버스 10대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했습니다.
5등급 노후 경유차
5등급 노후 경유 차량을 폐차하고 전기 / 수소 승용차를 구매하거나 도내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이나 재직자가 전기ㆍ수소 승용차를 구매할 경우 선착순 500대에 한해 대당 최대 20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누리집 또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친환경차 구매에 대한 지원 대상 차종 및 지원금액, 접수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해당 시·군 누리집 또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www.ev.or.kr)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 첨단모빌리티산업과장은 “전기차·수소차와 같은 친환경차는 대기질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반도체·수소 등 미래산업을 견인할 신수요 창출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며 “친환경차 보급 활성화를 통해 환경보전과 미래산업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4) 전기 승용차 (전기차) 대략
전기자동차(전기차)는 연료로 휘발유나 경유 대신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기를 공급받아 움직이는 차량입니다. 전기차는 연비가 우수하여 화석연료로 움직이는 차량보다 적은 비용으로 운행할 수 있으며, 끈적한 엔진 소음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최대 20% 이상을 차지하는 자동차 산업의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이 늘어난 기술입니다.
전차 시장은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이에 맞춰 전기 자동차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로는 테슬라, BMW, 볼보, 일렉트로링이 있으며, 국내에는 한국 GM, 기아, 쉐보레 등이 전기 자동차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전차 시장 확대를 위해 많은 국가들이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은 이전에 전기 자동차에 대한 세제 혜택을 부여한 바 있으며, 특히 캘리포니아주에서는 2035년까지 판매되는 모든 새로운 승용차와 일반 트럭은 전기차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법안이 제정되었습니다. 유럽 연합(EU)에서는 2020년부터 증거금제도 확대에 따른 경유 및 디젤 차량 가격 인상으로 인한 주행용량 목표 강화를 위해 배출 규제 강화 및 차량 제조업체의 강제적 전기차량 비중 목표 도입 등의 정책을 법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전기차를 주력 차종으로 삼는 것은 전기 차량 기술의 발전과 거래 실적의 증가를 예상하는 것입니다. 전기차 업체가 늘어나면 경쟁도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전기차 변형이나 충전 인프라 그리고 충전 기술에 대해 계속해서 발전해야 합니다.
[참고자료] 경기도청 홈페이지, 경기도뉴스포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