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엑스포 2030 세계박람회 부산에서 개최 응원합니다.
[목차]
1. 내용.
2. 부산은 개최역량을 갖춘 국제도시입니다.
3. 엑스포 소식.
4. 세계 박람회 역사.
1. 내용
기간은 2030. 5. 1. ~ 2030. 10. 31. 까지이며, 유치 희망 장소는 대한민국 부산 북항 일원, 주제는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입니다. 세계박람회 개최 대한민국의 국격이 올라갑니다. ①하나 세계박람회, 올림픽, 월드컵 3대 메가이벤트를 모두 개최하는 세계 7번째 국가. 둘 스마트 혁신 강국으로 국가 위상 제고. 셋 부산을 거점으로 제2경제권 부흥을 위한 국가 균형발전. 넷 대한민국 소프트 파워와 한류 확산입니다.
관람객 3,480만 명, 생산유발 43조 원, 부가가치 18조 원, 고용 창출 50만 명, 꿈과 희망을 실현할 미래세대의 플랫폼입니다.
자연과의 지속가능한 삶과 인류를 위한 기술, 돌봄과 나눔의 장을 모토로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를 준비합니다.
2. 부산은 개최역량을 갖춘 국제도시입니다.
정부의 강력한 유치 의지 - 정부유치위원회를 통한 범국가적 유치활동 총력 전개.
국회의 초당적 지원 - 유치지원특별위원회, 유치협력위원회를 통한 적극 지원.
국민들의 강한 지지와 열망 - 대학생 서포터스, 시민단체 등 국민 주도의 다양한 유치지지 활동.
열린 경제 강국 - 세계 10대 경제대국, 무역규모 세계 8위, 개도국-선진국 간 가교 국가.
최첨단 산업강국 -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청정에너지 등 혁신 기술선도 국가.
창의적 문화강국 - K-POP, 드라마, 영화 등 세계에 영감을 주는 문화·콘텐츠 강국.
위기 극복의 도시 - 한국전쟁의 폐허에서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
한류 중심 도시 - 연간 4천만의 관광객, 부산국제영화재 등 K-Culture의 중심.
국제행사 도시 - APEC 정상회의,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등 수많은 국제행사 경험 보유.
미래 선도 도시 - 블록체인 경제특구, 스마트시티 조성 등 4차 산업혁명의 모델.
3. 엑스포 소식
22. 9. 7. 유치계획서 제출
- 유치계획서 세계박람회기구 사무국 공식 제출 - 정부대표단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대통령실 미래정책비서관 등 프랑스 방문 유치계획서 국제박람회기구 사무국 제출. BIE 회원국 대상 다자, 양자 유치교섭 활동 전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의지 피력.
22. 8. 26.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 2차 회의.
23. 3. 10.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 3차 회의 개최.
23. 3. 27. 부산세계박람회 유치기원 행사 광화에서 빛;나이다 개최
- 광화문광장에 엑스포 빛이 내립니다. 를 제목으로 3. 30. (목) ~ 4. 3. (월) 광화문광장에서 복합 미디어 축제 개최, 정부/부산시/민간 유치위 총출동 국민 참여형 축제의 장 펼쳐. 실사단 BIE 방문 계기 붐업을 위해 광화문 광장을 엑스포 공간으로 조성.
22. 11. 29. BIE 총회 3차 경쟁 프레젠테이션 실시.
- 치열한 유치경쟁 속 제171차 BIE 총회계기 경쟁 프레젠테이션 참여, 11. 29. (화) 오전 프랑스 파리 제 171차 국제박람회 기구 BIE 총회에서 우리나라 부산의 2030세계박람회 경쟁 프리젠테이션 실시. 이번 행사는 2030 세계박람회 유치후보국들이 지난 9월 유치계획서를 제출한 이후 실시한 첫 PT였으며, 이 날 우리나라 부산 외에 우크라이나 오데나,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의 PT도 진행됐습니다.
4. 세계 박람회 역사
세계 박람회 World's Fair 혹은 만국박람회는 19세기 중반부터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공공 박람회입니다. 가장 큰 볼거리는 참가국에서 꾸미는 국가별 전시관으로 1928년부터 어떤 나라도 참여가 가능했습니다. 2012년 5월 미국, 인도를 제외한 세계 160개국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국제박람회기구 BIE에서 주관하며 엑스포 Expo, exposition의 줄임말로 세계 엑스포 World Expo라고도 합니다. 과거에는 만국 박람회 Universal Expositions라고 부른 적도 있습니다.
등록 박람회 Registered Expositions - 공식적인 박람회로 6주~6개월 개최 5년 주기.
1970년 일본 오사카 - 동아시아 최초 개최 관람객 6,420만 명.
2000년 독일 하노버
2010년 중국 상하이 - 역대 최다 관람객 7,540만 명
2020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아랍권 최초 개최. 역대 최대 규모 엑스포.
2025년 일본 오사카 예정
인정 박람회 Recognized Expositions - 3주~3개월 개최. 등록박람회 사이에 1회 개최.
1986년 밴쿠버
1993년 대한민국 대전 - 대한민국 첫 개최.
2012년 여수 - 대한민국 두 번째 개최.
2017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 중앙아시아 최초 개최. 이슬람권 최초 개최.
2023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남미 최초 개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