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는 6월 출시 5,000만원 목돈 마련 하세요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해 5년 5,000만원 목돈마련 지원 합니다.
[목차]
혜택
조건
청년도약계좌, 다른 상품과 중복 가입 가능한가
가입신청후 심사 절차, 준비서류
가입 이후 만 34세가 넘으면 어떻게 되나요
5년 만기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시 어떻게 되나요
목적
청년도약계좌는 대한민국 정부에서 운영하는 특별한 예금 계좌입니다. 이 계좌는 2030세대 청년들의 처음 창업과 독립을 위해 서민친화적인 금융상품으로 지원하는 것 입니다. 이 계좌는 보면서 높은 이율과 추가 혜택, 적은 수수료로 청년들의 자금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고 청년들의 창업 정신을 더욱 활성화시킬 것입니다.
혜택
청년에게는 최대 20만원까지 이자 지원을 제공하며, 개설 시 100만원까지 우대금리를 적용하여 이자 수익을 높일 수 있는 혜택도 제공합니다.
조건
이 계좌를 개설하려면 먼저 청년 연령층(19~34세)에 해당되어야 하며, 1인당 계좌 개설이 한 개로 한정되며 청년 본인이 직접 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또한, 본인 명의의 것으로만 개설이 가능하며, 만기일까지 일정액 이상의 금액을 예치하고 유지해야 합니다. 청년층이 5년 동안 적금을 납입하면 5,000만 원 안팎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입니다.
금융위원회는 최대 납부액인 월 70만원을 5년 동안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납입하면 만기 때 5,000만 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밝혔습니다.<본인 부담 납입금 계산>700,000원 X 1년(12개월) = 8,400,000원8,400,000원 X 5년(60개월) = 42,000,000원 ↔ 최대 정부 기여금 8,000,000원 (년 1,600,000원)
(청년도약계좌 정부의 기여금 예시)
연소득 2,400만원 이하이고 월 20만 원을 납부 A청년 => 20만원 X 매칭비율 6% = 12,000원 : 212,000원 총입금
연소득 6,000만원 이하이고 월 70만 원을 납부 B청년 => 70만원 X 매칭비율 3% = 21,000원 : 721,000원 총입금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바로가기 아래 이미지 클릭 ☞☞


청년도약계좌, 다른 상품과 중복 가입 가능한가
기존 지원 상품에 가입한 청년이더라도 최대한 자산형성을 지원 받을 수 있도록, 유사상품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가입 가능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복지 목적의 지자체 지원상품 동시가입 허용
☞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고용지원 목적의 지자체 지원상품 동시가입 허용
가입 가능한 금융기관
요건 갖춘 금융회사등 희망하는 기관을 모집할 계획입니다. 안정적인 자산규모, 일정규모 이상의 전산 인프라등 요건을 갖춘 기관 모집 예정입니다.
가입기간 기준
6월 가입을 개시, 12월까지 매월 가입신청 받을 예정입니다.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아, 신청후 2~3주 내에 심사 완료하여 결과통보할 예정 입니다.
가입신청후 심사 절차, 준비서류
- 가입신청 청년의 개인소득, 가구소득 심사를 거쳐 최종 가입가능여부가 결정됩니다.
- 취급기간 앱(App) 등 비대면 가입 가능토록 예정, 별도 서류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 소득확인 통해 가입 가능토록 예정입니다.
가입 이후 만 34세가 넘으면 어떻게 되나요
가입 당시 연령요건에 해당되면 중도해지 하지 않는 한 계좌 유지가 가능합니다.
5년 만기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시 어떻게 되나요
해지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된다면, 본인 납입금 + 정부기여금 둘다 지급 / 비과세 혜택 적용 됩니다.
※ 가입자의 사망·해외이주 / 퇴직 / 사업장의 폐업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생애최초 주택구입
일반적인 중도해지의 경우 본인이 납입한 부분만 지급,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혜택도 지원 없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서도 아래를 클릭해서 자료 읽어 보세요.
2023.04.03 - [분류 전체보기] - 청년내일채움공제 및 청년햇살론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댓글